크래프톤 정글(C언어 WEEK 5 ~ 8)

WEEK 05 리눅스, C언어 TIL(4월11일 금요일)

devkty 2025. 4. 18. 03:34
728x90

오늘은 본격적인 5주차의 시작이다.

10:30 ~ 12:00
우리 팀의 코어 타임은 아침 시간대에 하기로 해서 코어타임을 하고 왔다.

코어타임 내용을 대강 정리해보았다.

코어타임

리눅스에 대해

리눅스는 명령어에서 커널로 넘기고 커널을 통해 하드웨어를 제어한다.
리눅스가 전세계에서 제일 많이 쓰는 OS이다. 범용성이 좋다.
리눅스 모든 작업은 프로세스 단위로 실행, PID기준(프로세스 ID), 프로세스는 독립된 공간을 가진다.

계층 구조

유저들의 권한을 나눠주는 것이다. UID기준으로 정렬
유저이름@호스트이름
0번은 root 계정이다. 모든걸 할 수 있다. 설치시 등 사용(sudo)

가상화 타입 2가지

가상화 타입2

도커(OS 타입): 도커 프로세스로써 OS에 요청해서 커널을 통해 하드웨어를 조작(실행환경만 구성, 프로세스 단에서 해결, OS 수준) 그러나 사실상 도커가 VM의 역할을 한다.
VM(하드웨어 타입): 현 컴퓨터는 하드웨어, OS 는 유지, VM 위에서 완전 다른 OS를 전개(완전 환경 가상화)

가상화 타입1

하드웨어-VM-OS 여러개 인 방식으로 VM은 OS를 나눠주고 각각의 OS는 직접 하드웨어에 엑세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마존 EC2)

하이퍼바이저 등

도커 컨테이너, 가상화 종류에 대해서는 추후 정리해보겠다.

인프턴 CTO님 강연과 도커로 GCC 돌리기
이후에 점심이 지나고, 인프런 이동욱 CTO님의 강연을 들었다. 이미 포스팅했으므로 그 전 포스팅을 살펴보면 좋을 것 같다.

나는 도커를 목요일 내내 설치하고 깃허브 연동까지 하긴 했지만, 도커에서 GCC돌려서 c언어 파일을 컴파일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했다. 그래서 도커에서 GCC 돌리는 방법을 알아 보았고, 이것 또한 이미 포스팅 해놨으므로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그리고 5주차 과제가 다 영문이라서 해석해봤다.
시간이 된다면 해석본도 올려보겠다.(풀이와 같이)

C언어를 진행하기 전에 포인터와 구조체를 공부해봤고, 이것과 관련된 내용은 따로 포스팅해보겠다.

728x90